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이상혁/플레이 스타일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승률 50% 미만 ==== 하지만 이런 페이커에게도 아픈 손가락들인 저승률 챔피언이 존재하기 마련. 2023 MSI 기준으로 모든 대회에서 10전 이상 출전해 승률이 50%가 안되는 챔피언 목록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전적 참조: [[인벤]], 대회에서 많이 선택된 챔피언 기준으로 나열. 승, 패, 승률.] ||<^|1><nopad>[[카르마(리그 오브 레전드)|[[파일:karma_portrait.png|width=120]]]]||<^|1>'''[[카르마(리그 오브 레전드)|카르마]]''' - 26전 11승 15패 42.3% ---- 페이커는 [[룰루(리그 오브 레전드)|룰루]] 같은 서포팅형 유틸 미드를 굉장히 잘 다룬다는 이미지가 강하다는 평이 많았고, 활약했던 시절에는 카르마를 잡고도 높은 딜을 기록해 속칭 [[페르마의 대정리]]라는 평을 듣곤 했었다. 그러나 어느 시점부터 유독 카르마를 들고는 연패를 끊지 못하고 있다. 딜템 트리를 올려 자신이 데미지를 넣어야 하는 메인 딜러로서 카르마를 플레이할 때는 패배하지만, 서폿 템트리를 올려 팀원 보좌에 충실하는 카르마를 플레이할 때는 승리하는 등 인게임 플레이 방식의 차이로 봐야 할 듯 싶다.[* 본인의 플레이 스타일이 변화된 것도 있고, 메타도 예전 유틸 서포터 챔피언이 솔로 라인에 꽤 흔히 올라오던 시절과는 다르게 최근으로 올수록 그 챔피언들을 원래 포지션에 맞게 운용토록 하는 라이엇 특유의 패치들이 있던 점 등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다.] 2019 월즈의 주제가인 [[리그 오브 레전드 2019 월드 챔피언십/공식 영상|Phoenix]]의 뮤비에서는 [[송의진|루키]]의 [[리산드라]], [[라스무스 뷘터|캡스]]의 [[이렐리아]]와 함께 선수 본인에게 뼈아픈 패배[* 2017 월즈 결승전 3세트에서 [[박재혁(1998)|룰러]]의 [[바루스]]의 점멸 - 부패의 사슬에 당한 장면이다.]를 남긴 기억으로 등장했다.|| ||<^|1><nopad>[[블라디미르(리그 오브 레전드)|[[파일:vladimir_portrait.png|width=120]]]]||<^|1>'''[[블라디미르(리그 오브 레전드)|블라디미르]]''' - 10전 3승 7패 30.0% ---- 데뷔 초에는 평범한 페이커의 픽 카드 중 하나였지만, 선혈의 파도의 메커니즘 및 챔피언 리모델링이 변경된 2016 시즌부터 쭉쭉 연패를 쌓고 있는 챔피언이다. 다른 저승률 픽들은 그냥 평범하게 했는데 상황이 안 좋아서 패하거나 그냥 조금 제 역할을 못하는 정도였지만, 블라디미르만은 패배한 게임의 대부분을 확실하게 본인 때문에 임팩트 있게 패배했기 때문에 많은 팬들에게 가장 아픈 손가락으로 꼽혔을 정도였고, 찬사로 뒤덮이는 챔피언인 페블랑과는 또 다른 의미를 지닌 별명인 페라디로 자주 불리면서 블라디미르 한정 트롤러로 인식되었을 정도였다. 특히 2018 스프링과 서머 정규시즌에서 (공교롭게도 두 번 모두 통신사 라이벌인 KT전 3세트에서) 블라디미르를 픽하여 좋지 않은 경기력을 보여주면서 팀 패배에 크게 일조했고, 2018 시즌 기준 Hide on bush 계정에서도 '''28승 53패 35%'''의 최저 승률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블라디미르는 단순히 페이커뿐만 아니라 각각 2018 시즌, 2019 시즌 세체미라 불리는 [[송의진|루키]], [[김태상|도인비]] 역시 승률 면에서 각각 22.2%, 35.7%를 기록함에 따라 미드로선 마가 낀 챔피언이 아니냐는 반응 역시 많았다. 또한 2019년 이후부터 블라디미르는 미드보단 탑에 더 가까운 챔피언으로 더욱 분류되고 있고, 당대 주류 메타의 선택을 받지 않는 한 미드로는 더 이상 나오기는 힘든 챔피언이 되었다. 또한 이 당시 SKT는 잼구 시절 [[강선구|블랭크]]와 그 2018년의 [[박권혁|트할]]에다가, 본인의 폼도 최저점을 찍던 시기의 자료가 많다는 것도 감안해야 한다. 물론 그걸 고려해도 페이커의 여러 챔피언들 중 단연 가장 아픈 손가락이라고 말할 수 있는 챔피언이라는 것은 부정할 수가 없다. 이런 점 때문인지 2019 서머 결승전에서 나왔던 추격자, 타짜, 신세계 패러디 영상인 '''[[https://youtu.be/W50zqvefktw|슼격자]]''' 영상에 페중구로 등장해서 [[이중구(신세계)|"갈 때 가더라도 블라디 한 판 정도는 괜찮잖아?"]] 라고 말하는 [[셀프디스]]를 했다.|| 이 중에 절반 가까이가 T1의 암흑기인 2014, 2018 시즌의 기록이다. 이외에도 블라디미르에 가려졌지만 [[갱플랭크]]도 안 좋은 모습을 보였다. 팬들을 포함한 유저들에게는 갱플랭크가 페이커의 최악의 픽으로 여겨진다. 나머지 픽들은 불운이 겹친 것도 있지만 갱플랭크는 진지하게 심각하다고.[* 다만 미드 갱플랭크는 탑과 달리 정말 선택받은 극소수만 사용할 수 있는 챔피언인 것도 있다. LCK에서도 거의 [[허원석|폰]]만이 다루던 픽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